초전법륜경 Dhammacakkappavattana Sutta

Dhammacakkappavattana Sutta

Thus have I heard,

Once when the Blessed One was staying in the pleasance of Isipatana, the deer sanctuary near Benares, he spoke to the group of five bhikkhus:

“These two extremes, bhikkhus, should not be followed by one who has gone forth from worldly life: sensual indulgence, low, coarse, vulgar, ignoble, unprofitable, and self-torture, painful, ignoble, unprofitable.

Bhikkhus, the middle way, understood by the Tathāgata, after he had avoided the extremes, produces vision, produces knowledge, and leads to calm, penetration, enlightenment, nibbāna.

What middle way, bhikkhus, understood by the Tathāgata, produces vision,produces knowledge and leads to calm, penetration, enlightenment, nibbāna ?

Only this noble eightfold path, namely,

right understanding—Sammā Diṭṭhi

right thought—Sammā Saṅkappa

right speech—Samma Vācā

right action—Sammā Kammanta

right livelihood—Sammā Ājīva

right effort—Samma Vāyāma

right mindfulness—Samma Sati

right concentration—Samma Samādhi

Truly bhikkhus, this middle way understood by the Tathāgata produces vision, produces knowledge, and leads to calm, penetration, enlightenment, nibbāna.

This, bhikkhus, is the noble truth of ill: birth is ill, decay is ill, disease is ill, death is ill, association with the unloved is ill, separation from the loved is ill, not to get what one wants is ill, in short the five aggregates of grasping are ill.

This, bhikkhus, is the noble truth of the source of ill: the craving which causes rebirth is accompanied by passionate pleasure, and takes delight in this and that object,namely sensuous craving, craving for existence and craving for annihilation.

This, bhikkhus, i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ill: the complete cessation,giving up, abandonment of that craving, complete release from that craving and complete detachment from it.

This, bhikkhus is the noble truth of the way leading to the cessation of ill; only this noble eightfold path namely, right understanding, right thought,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ill”, there arose in me, bhikkhus,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ill, and this ill has been understood,”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f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ill, and this ill has been understood”,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source of ill”, there arose in me,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source of ill, and this source of ill has to be abandoned”,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source of ill, and this source of ill has been abandoned”,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ill”,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ill, and this cessation of ill has to be realised”,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ill, and this cessation of ill has been realised”,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way leading to the cessation of ill”,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way leading to the cessation of ill, and this way has to be developed”,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With the thought, This is the noble truth of the way leading to the cessation of ill, and this way has been developed”, there arose in me bhikkhus, vision, knowledge, insight, wisdom, light, concerning things unknown before.

So long, bhikkhus, as my knowledge, and vision of reality regarding these four noble truths, in three phases and twelve ways, was not fully clear to me, I did not declare to the world with its devas and māras, to the mass of beings with its devas and humans, that I understood incomparable, perfect enlightenment.

But when, bhikkhus, as my knowledge, and vision of reality regarding these four noble truths, in three phases and twelve ways, was fully clear to me, I declared to the world with its devas and māras, to the mass of beings with its devas and humans that I understood incomparable, perfect enlightenment.

Knowledge and vision arose in me. Unshakable is the deliverance of my mind; this is the last birth, now there will be no birth.

Thus spoke the Blessed One and the group of five bhikkhus glad at heart approved of the words of the Blessed One.

As this exposition was proceeding the passion-free stainless view of truth appeared to the Venerable Koṇḍañña, and he knew “Everything that has the nature of arising, has the nature of ceasing”.

When the Blessed One set in motion the Wheel of Dhamma, the Bhummattha devas proclaimed with one voice “The incomparable Wheel of Dhamma is turned by the Blessed One at Isipatana, the deer sanctuary near Benares, and no recluse, brahmin, deva, mara, brahma, or other being in the world can stop it”.

The Cātummahārājika devas having heard what the Bhummattha devas said, proclaimed with one voice, “The incomparable Wheel of Dhamma is turned by the Blessed One at Isipatana, the deer sanctuary near Benares, and no recluse, brahmin, deva, mara, brahma, or other being in the world can stop it”.

This utterance was echoed and re-echoed in the upper realms and from Cātummahārājika, it was proclaimed in Tāvatiṃsa, Yāma, thence to Tusita, Nimmānaratī and to Paranimmitavasavattī. The Brahmakāyika devas, having heard what the Paranimmitavasavattī devas said, proclaimed in one voice, “The incomparable Wheel of Dhamma is turned by the Blessed One at Isipatana, the deer sanctuary near Benares, and no recluse, brahmin, deva, māra, brahmā, or other being in the world can stop it.”

Thus in a moment, an instant, a flash, word of the Turning of the Wheel of Dhamma went forth up to the World of Brahmā and the system of ten thousand worlds trembled and quaked and shook.

A boundless, sublime radiance, surpassing the power of devas, appeared on earth.

Then the Blessed One made the utterance, “Truly Koṇḍañña has understood, Koṇḍañña has understood.”

Thus it was that the Venerable Koṇḍañña got the name Koṇḍañña the wise.

The Wheel of Law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by Soma Ther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 Sri Lanka


“비구들이여, 출가자가 따라서는 안되는 두 가지 극단이 있다. 그것은 저열하고 통속적이고 범속하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감각적 욕망에 대한 쾌락의 탐닉에 몰두하는 것이며, 괴롭고 성스럽지 못하고 이익을 주지 못하는 자기 학대에 몰두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두 가지 극단을 따르지 않고 여래는 중도를 완전하게 깨달았나니, 이 중도는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높은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여래가 완전하게 깨달았으며,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높은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하는 중도인가? 그것은 바로 성스러운 팔정도(八正道)로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동[正業], 바른 생계[正命], 바른 정진[正精進], 바른 알아차림[正念], 바른 집중[正定]이다.” 비구들이여, 여래는 참으로 이 중도를 통하여 완전하게 깨달았으며, 눈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높은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을 얻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이다. 태어남도 괴로움이요, 늙음도 괴로움이요, 죽음도 괴로움이다. 슬픔, 비탄, 육체적 고통, 정신적 고통, 절망도 괴로움이다. 좋아하지 않는 것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이요, 사랑하는 것과 헤어지는 것도 괴로움이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요컨데 오취온(五取蘊)이 바로 괴로움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集聖諦]이다. 그것은 바로 갈애이니, 다시 태어남을 가져오고 즐김과 탐욕이 함께 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滅聖諦]이다. 그것은 바로 그러한 갈애가 남김없이 빛바래어 소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 없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의 성스러운 진리[道聖諦]이다. 그것은 성스러운 팔정도이니,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동[正業], 바른 생계[正命], 바른 정진[正精進], 바른 알아차림[正念], 바른 집중[正定]이다.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의 성스러운 진리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진리는 철저하게 알아져야 한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진리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진리는 버려졌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滅聖諦]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는 실현되어야 한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는 실현되었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道聖諦]의 진리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 의 진리는 닦아져야 한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이 생기고, 지혜가 생기고, 통찰지가 생기고, 명지가 생기고, 광명이 생겼다.

비구들이여, 내가 이와같이 세 가지 양상과 열두 가지 형태를 갖추어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이 지극히 청정하게 되지 못하였다면 나는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실현하였다고 천인과 마라와 범천을 포함한 세상에서, 사문과 바라문과 천인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 가운데서 스스로 천명하지 않았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나 내가 이와 같이 세 가지 양상과 열두 가지 형태를 갖추어서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있는 그대로 알고 보는 것이 지극히 청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나는 위없는 바른 깨달음을 실현했다고 천인과 마라와 범천을 포함한 세상에서, 사문과 바라문과 천인과 사람을 포함한 무리 가운데서 스스로 천명하였다.

그리고 나에게는 ‘나의 해탈은 확고부동하다. 이것이 나의 마지막 태어남이며, 이제 더 이상의 다시 태어남은 없다’라는 지견(智見)이 일어났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다섯 비구는 마음이 흡족해져서 세존의 말씀을 크게 기뻐하였다.

이 설명이 설해졌을 때 꼰단냐 존자에게 ‘일어난 법은 그 무엇이든 모두 사라지게 되어있다’라는 티 없고 때 묻지 않은 법의 눈[法眼]이 생겼다.”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법륜을 굴리시자, 땅의 신들이 한 목소리로 외쳤다.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위없는 법륜을 굴리셨나니,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도 천인이나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이것을 멈추게 할수 없도다.’라고

땅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사대왕천의 신들도 한목소리로 외쳤다.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위없는 법륜을 굴리셨나니,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도 천인이나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이것을 멈추게 할 수 없도다.’라고

사대왕천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삼십삼천의 신들이, 야마천의 신들이, 도솔천의 신들이, 화락천의 신들이, 타화자재천의 신들이, 범신천의 신들이 외쳤다. 세존께서 와라나시에 있는 이시빠따나의 사슴동산에서 위없는 법륜을 굴리셨나니,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도 천인이나 마라도 범천도 이 세상의 그 누구도 이것을 멈추게 할수 없도다.’라고

삽십삼천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야마천의 신들도 한 목소리로 외첬다…

야마천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도솔천의 신들도 한 목소리로 외첬다…

도솔천의 신들의 소리를 듣고, 기쁨에 넘쳐 한 목소리로 외첬다…

기쁨에 넘쳐 외치는 신들의 소리를 듣고, 그 신들은 또 다른 신들에게 알리고…

기쁨에 넘쳐 외치는 신들의 소리를 듣고, 브라흐마들도 한 목소리로 외치고…

이처럼 그 찰나, 그 짧은 순간, 그 순간에 범천의 세상에 이르기까지 그 소리는 퍼져나갔다. 그리고 일만세계는 흔들렸고 강하게 요동쳤으며, 한량없는 찬란한 빛이 나타났나니 그것은 천인들의 광채를 능가하였다.

그때 세존께서는 감탄을 하셨다. “참으로 꼰단냐는 완전하게 알았다. 실로 꼰단냐는 완전하게 알았다. 이로 인해 꼰단냐는 안냐시 꼰단냐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The Buddha vs. Plato: Reality and Illusion (From the Cave to Nirvana)

Kusala vs. Akusala

In Buddhism, Kusala (Pali) or Kuśala (Sanskrit) refers to wholesome, skillful, or meritorious actions, thoughts, and states of mind. It is t...